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 T : 02-733-5270 | F : 02-6499-9911
<이달의 절기>
소한(小寒)
소한(小寒)은 24절기 가운데 스물세 번째 절기로 음력 12월에 해당되며 양력으로는 1월 5일에서 20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黃經)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이다. 절기상으로는 대한에 더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소한에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와 1년 중 가장 춥다. 소한 추위를 이겨냄으로써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던 이유로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부터 대한까지 15일간을 5일씩 3후(三候)로 세분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기술했다. 이것은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다.
대한(大寒)
대한(大寒)은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절기이다. 소한 15일 후부터 입춘 전까지로 음력으로는 12월 중기, 양력은 1월 29일 경부터 시작된다. 태양의 황경은 약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절기상으로는 대한이 가장 추워야하지만 그것은 중국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는 말처럼 소한보다 덜 춥다.
음력을 사용하는 동양에서는 대한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해 계절적으로 연말일로 여겼으며, 절분 다음날은 입춘의 시작일로 절월력(節月曆)의 연초로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