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 T : 02-733-5270 | F : 02-6499-9911
부럼과 귀밝이술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설날과 함께 정월대보름을 큰 명절로 여겼다. 음력 1월 15일, ‘상원절(上元節)’이라고도 하는 정월대보름 아침이면 쌀, 팥, 콩, 조, 수수를 넣어지은 오곡밥과 갖가지 나물을 삶거나 볶아서 이웃과 서로 나눠 먹었고, 이와 함께 부럼을 깨물고 귀밝이술도 마셨다. 부럼을 깨물어 한 해 동안 부스럼이나 종기가 나지 않기를 빌고, 일 년 내내 좋은 소식만 전해 달라며 귀밝이술을 마셨다.
부럼과 귀밝이술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조선 시대 세시풍속도를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이른 새벽에 날밤·호두·은행·무 등속(等屬)을 깨물며, 일 년 열두 달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달라고 축수한다’고 나와 있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마셨다’는 것으로 보아 꽤 오래된 풍습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부럼은 밤, 호두, 잣, 은행, 땅콩 등과 같이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정월대보름 전 날 준비해 두었다가 아침에 식구들이 일어나면 다같이 입으로 깨게 된다. 부럼을 깨는 것은 이를 강하게 한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부럼깨기를 통해 한 해 동안 몸의 건강을 빌고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가 깃들어 있다.
귀밝이술은 술을 빚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설 차례 때 사용하고 남은 청주를 차게 해서 마신다. 이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정신이 나고, 그 해 귓병이 생기지 않으며, 귀가 더 밝아진다는 것과 한 해 동안 기쁜 소식을 듣게 해 달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