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 T : 02-733-5270 | F : 02-6499-9911
<2월의 절기>
입춘(立春)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태양이 황경 315°에 왔을 때를 일컬으며 음력으로는 1월,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봄이 들어선다는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써 입춘 전날을 철의 마지막이라고 ‘절분(節分)’이라 했다. 이날 밤을 ‘해넘이’라 부르며,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귀신을 쫒고 새해를 맞았다.
입춘에는 여러 가지 민속 행사가 행해졌다. 대표적인 것이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로 각 가정에서 대문이나 대들보·천장 등에 송축하는 글을 써서 붙였는데, 대표적으로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등이 있다. 한해의 액운을 물리치고 재수(財數)를 기원하는 ‘입춘굿’을 하기도 했다.
또 농가에서는 농사일을 시작하며, ‘입춘절식(立春絶息)’이라 하여 겨우내 먹지 못했던 신선한 야채를 보충하기 위해 햇나물 무침 등을 먹었다.
우수(雨水)
입춘입기일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경으로 황경이 330°의 위치에 올 때이다.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으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있듯 추운 겨울이 가고 봄을 맞이하는 절기이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입기일 이후 15일씩 세분해 그 특징을 나타냈는데, 첫 5일간은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했다.
슬슬 녹아 없어진다는 뜻의 ‘우수 뒤에 얼음같이’라는 속담은 이러한 우수의 계절적 성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