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 문화재]4월의 절기 청명, 곡우



청명(淸明)

 

 

  청명은 24절기 가운데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3월,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이다. 보통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나 같은 날이 많다.

 

이때부터 날이 풀리기 시작하고 화창해진다는 뜻으로 청명이라 하며, 농가에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고, 봄밭갈이를 한다.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절기 중 하나로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를 망친다고 했고, 바닷가에서도 날씨에 따라 어획량을 점쳤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청명조에는 ‘이 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로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친 뒤 다시 각지의 관청에 나누어 준다’라고 기록돼 있다. 청명에 일으킨 불을 다음날에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 했다.

 

 

곡우(穀雨)

 

 봄의 마지막 절기로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진다는 뜻으로 음력 3월 중순, 양력 4월 20일 경이다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볍씨를 담그는 등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곡우 무렵에는 서해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해 충남까지 올라오는데 이 조기를 ‘곡우살이’라고 부르며 상품으로 친다. 또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로 나무에 상처를 내고 수액을 받아 마시기도 했으며, 지리산에서는 통일신라 시대부터 곡우에 약수제를 지내며 태평성대와 그해의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T : 02-733-5270 F : 02-6499-9911

 ⓒ문화유산신문 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19 KCHN All rights reserved. Hosting &  Powered by Leemong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