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에 먹는 대표음식의 하나인 떡국, 천지 만물의 부활신생과 부귀영화를 기원하며 일 년의 나쁜 액을 모두 막아주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에 편찬된《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등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새해 차례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요즘은 정월뿐만 아니라 일 년 내내 대중적인 일품음식으로도 인기가 높다.

 

 지금은 대부분 방앗간에서 기계로 가래떡을 뽑아내지만, 기계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마당에 안반을 두고 남자들이 떡메로 떡을 쳐서 가래떡을 만들었다. 가래떡이 식어서 굳으면 어슷하게 썰어 떡국에 들어갈 떡을 만든다. 충청도에서는 ‘생떡국’이라 하여 익반죽한 쌀가루를 도토리 크기로 둥글게 빚어서 떡국을 만들었다. 개성 지방의 떡국 떡은 누에고치처럼 가운데 부분이 잘록한 것으로 조랭이떡이라고 한다.

 

 떡국을 끓이는 방법은 지역마다 집집마다 약간씩 다르다. 떡국의 국물은 주로 쇠고기나 꿩고기로 맑은 장국을 끓인다. 고기는 건져서 얇게 썰거나 가늘게 뜯어서 양념해 놓는다. 흰떡은 한 푼 두께로 어슷하게 썰어 놓는다. 계란은 황백을 구분하여 각각 얇게 부쳐서 골패모양으로 썰어 둔다. 상에 놓기 바로 전에 펄펄 끓는 국에다 썰어 놓은 떡을 넣고 떡이 떠오르기까지 끓인다. 국물에 떡이 떠오르면 합(盒)이나 대접에 퍼서 담고 양념해 놓은 고기와 황백 지단을 고명으로 얹는다.

 

 새해 아침 떡국으로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부모님과 어른들에게 세배를 울린다. 온 가족이 둘러앉은 자리에서 어른들은 덕담과 함께 떡국을 먹음으로써 한 살 더 먹는다고 말씀하신다. 훈훈한 정이 흐르는 우리네 모습이다. 




 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T : 02-733-5270 F : 02-6499-9911

 ⓒ문화유산신문 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19 KCHN All rights reserved. Hosting &  Powered by Leemong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