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 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경기민요(京畿民謠)’는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경기민요는 ‘경기좌창’이라 불리는 ‘경기긴잡가’를 말한다.

 

 잡가(雜歌)는 가곡이나 가사와 같은 정가(正歌)와 대비되는 속가(俗歌)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민간에서 통용되던 노래 중 양반들이 짓고 불렀던 가곡과 가사, 비전문가들이 주로 불렀던 향토민요를 제외한 대부분의 노래를 말하며 신분이 중인 이하로 낮은 계급이지만 비교적 전문인들에 의해 전승·공연되는 성악곡을 말한다.

 

 현재 전승되는 잡가에는 경기잡가를 비롯해 서도잡가, 남도잡가 등이 있는데 경기잡가에는 앉아서 부른다 하여 좌창(坐唱)이라고 부르는 긴잡가(12잡가)와 휘모리잡가가 있으며, 입창(立唱)에는 산타령이 있는데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된 경기민요의 주된 전승곡목은 긴잡가, 즉 12잡가만을 가리킨다.

 

 12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선유가, 집장가, 형장가, 평양가,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 달거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유산가는 산천경치를 노래한 것이고, 소춘향가, 집장가, 십장가, 형장가는 판소리 춘향가의 내용을 따서 사설을 지은 것이다. 적벽가는 판소리 적벽가와 유사하고, 제비가는 판소리 흥보가에서 일부 사설을 따왔다. 평양가, 출인가, 방물가, 달거리는 서민적인 인정, 사랑 등을 노래하고 있다.

 

 이들 12곡의 긴잡가는 대부분 6박 한 장단인 도드리장단이나 좀 느린 3박 세마치장단 등이 많이 쓰인다. 남도민요에 비해 한 글자에 여러개의 음이 붙는 일자다음식의 선율이 많아 가락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다채롭고 명쾌하며, 부드럽고 서정적이다.

 

 ‘경기민요’는 지난 1975년 7월 12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됐다. 초대예능보유자로는 안복식(安福植, 예명 안비취)·이경옥(李瓊玉, 예명 묵계월)·이윤란(李潤蘭, 예명 이은주) 선생이 인정됐다. 이후 안비취 선생과 묵계월 선생이 타계하고, 안비취 선생의 수제자인 이춘희 선생이 보유자로 인정돼 경기민요는 현재 이은주, 이춘희 보유자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이은주 선생은 1922년 경기도 양주 출생으로 종로권번의 원경태 문하로 들어가면서 시조, 가사, 12잡가 등을 배웠고 1939년 경성방송국에 출연하면서 명창으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해방 후 대한국악원 소속 민요부원으로 활동했으며, 1962년 한국민요연구회 초대 이사, 1969년 국악협회 이사를 역임했고, 1975년 경기민요 초대 보유자로 인정됐다. 이은주 선생은 잡가와 민요인 ‘이별가’ ‘태평가’를 특히 잘 불렀으며, 경기민요 보유자로 지정된 종목은 12잡가 중 ‘집장가’ ‘형장가’ ‘달거리’ ‘평양가’이다.

 

 이춘희 선생은 1947년 서울 출생으로 1967년 청구고전성악학원에 다니면서 경기소리를 시작했다. 안비취 선생에게 사사받았으며, 안비취 선생이 1975년 경기민요 보유자로 인정되자 전수장학생이 됐다. 1986년 한라예술제에서 대상, 1988년 KBS 국악대상, 1991년 국악협회 공로상, 1996년 방송대상 국악인상을 수상했다. 199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인정됐으며, 지정받은 종목은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 등이다.






 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T : 02-733-5270 F : 02-6499-9911

 ⓒ문화유산신문 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19 KCHN All rights reserved. Hosting &  Powered by Leemong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