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 T : 02-733-5270 | F : 02-6499-9911
옛날 임금님 연회의 주안상이나, 양반집 잔칫상에 빠지지 않고 올랐던 신선로(神仙爐)는 그 화려한 모습만으로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손꼽히는 신선로는 ‘열구자탕(悅口子湯)’ ‘탕구자(湯口子)’ ‘열구자(悅口子)’라고도 부르며, 화통이 붙은 냄비(구자)에 여러 가지 어육(魚肉)과 채소를 색스럽게 넣고 각종 마른 과일들을 장식하여 육수를 붓고 끓이면서 먹는 전골요리이다.
우리나라에 신선로가 자리 잡은 것은 중국의 훠궈르(火鍋兒)란 냄비가 수입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처음으로 신선로에 대한 그릇모양과 조리법이 나타난 문헌은 1700년대 한문 요리서인《수문사설(謏聞事說)》이며,《송남잡지(松南雜識)》《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등에 그 기록이 남아 있다. 특히《조선요리학(朝鮮料理學)》에는 연산군 때 정희량(鄭希良)이라는 사람이 무오사화(戊午士禍)를 겪고 난 후에 속세를 떠나 선인생활을 하는 중에 화로를 만들어 채소를 끓여 먹었던 것인데 그의 기품이 마치 신선과 같았으며, 그가 죽은 후 그 그릇을 ’신선이 되어간 분의 화로’ 라는 뜻에서 ’신선로(神仙爐)’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신선로는 산해진미를 모두 차곡차곡 담은 후, 육수를 부어 익히는 것으로 여러 가지 맛과 영양소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간, 천엽, 생선, 알지단, 표고, 석이, 미나리 등의 전을 부쳐 신선로 틀에 맞춰 썰고 쇠고기를 썰어서 양념한 것과 각종 전의 부스러기를 밑에 깔고, 여러 가지 전유어를 색 맞추어 돌려 담은 후 그 위에 호도, 은행, 잣, 쇠고기 완자 등을 고명으로 얹고, 육수를 부어 즉석에서 익혀 먹는다. 신선로는 상 위에서 직접 숯불을 피워 끓이는 음식으로 재료의 다채로움과 호화로움으로 함께 즐길 수 있어 한국음식의 진수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