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 T : 02-733-5270 | F : 02-6499-9911
신사임당 초충도병(申師任堂 草蟲圖屛, 강원유형문화재 제11호)은 조선 시대 여류화가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 종이에 채색하여 그린 8폭의 병풍그림이다. 이 병풍은 오이와 메뚜기, 추규(접시꽃, 해바라기)와 잠자리, 수박과 여치, 가지와 사마귀, 맨드라미와 개구리, 양귀비와 풀거미, 봉숭아와 잠자리, 원추리와 벌을 소재로 그렸다.
율곡 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의 본명은 신인선으로 그림뿐만 아니라 시·글씨 등 학문에도 능했고, 자수실력 또한 뛰어난 여류 예술가이다. 초충도는 섬세한 필치와 구도로 그려져 신사임당의 예술적 재능이 잘 나타나 있으며 상하좌우의 충분한 여백과 소재의 적절한 배치, 정감 있는 채색 등 단아함과 사실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 초충도는 화지의 중간에 주요 식물을 배치하고 그 옆에 보조식물을 그렸으며, 위아래로 날벌레와 길벌레를 배치하였다. 오이와 수박은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뻗어 다시 왼쪽 위로 곡면을 이루며 꺾인 구도로 묘사되어 넝쿨식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심식물 옆에 그려진 보조식물로는 패랭이, 달개비, 도라지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단조로운 구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채색은 석죽(石竹)을 선홍색으로, 잎은 녹색, 꽃은 주황색으로 하였다.
이 병풍은 율곡 선생을 모신 송담서원에 있었는데 순조 4년(1804) 강릉에 산불이 나면서 이 서원까지 불이 번져 서원의 소장품과 함께 분실되었다. 후에 강릉의 민가에 보관되어 오던 것을 후손인 이장희가 입수하여 율곡기념관에 기증하였다. 현재 오만원권 지폐 앞면 도안으로도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