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명승]명승 제23호 공민왕과 노국 공주의 전설이 깃든 봉화 청량산




경북 봉화 청량산은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예부터 소금강이라고도 불린 명산으로 천혜의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다양한 역사문화경관이 특징을 이루는 대표적 명승지이다. 고대에는 수산(水山)으로 불리어지다가 조선 시대에 이르러 청량산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조선 시대 당시 풍기군수 주세붕이 청량산을 유람하면서 정리한 장인봉, 선학봉 등 육·육봉이라 불리는 12개의 봉우리와 기암절벽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또 최치원이 글을 읽었다고 전하는 독서대를 비롯하여 어풍대, 밀성대 등 12대와 김생굴, 금강굴 등 청량산 8굴, 총명수 청량약수 등 4개의 우물까지 다양한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어풍대에서 바라다 보이는 청량산으로 오르는 구불구불한 진입로와 산의 중첩된 경관이 장관을 펼치고 있다.

 

 또 이곳은 명승지정 이전인 1982년 8월에 도립공원으로 먼저 지정되었다. 청량산 도립공원 표석 뒤로 퇴계의 청량산가 시비가 있는데 퇴계는 청량산가에서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는 나와 흰기러기 뿐이며 어부가 알까 하노라” 하고 노래하기도 했다. 청량산은 퇴계 뿐 만 아니라 원효, 의상, 김생, 최치원 등의 명사가 찾아와 수도했던 산이며 산속에는 신라 문무왕 3년(663) 원효대사가 세운 청량사를 비롯한 절터와 암자가 있었던 유지가 있고 의상대사가 창건한 유리보전과 퇴계가 수도하며 성리학을 집대성한 청량정사, 최치원의 유적지인 고운대와 독서당, 김생이 공부하던 김생굴, 공민왕이 은신한 공민왕당과 산성 등 많은 역사의 현장들이 남아있기도 하다. 이밖에도 신선이 내려와서 바둑을 두었다는 신선대, 선녀가 가무유희를 즐겼다는 선녀봉을 비롯하여 일년사시 경관이 심묘한 절승지로 알려져 있으며 신라 때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선현들이 수도한 유불선교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청량산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 공주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원나라 왕족이었던 노국 공주는 공민왕과 결혼한 뒤 공민왕의 원나라로부터의 자주정책을 적극 지원한 인물이다. 그러나 세자를 생산하지 못하자 공민왕은 이제현의 딸을 후궁으로 삼게된다. 이러한 연유로 청량산은 노국 공주의 기도처이기도 했다.


 


1361년 홍건적이 침입하자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을 피해 노국 공주를 데리고 이곳 청량산에 이르렀다. 공민왕이 청량산으로 들어갈 때 지금의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와 관창리를 연결하는 나분들(廣石) 개울을 건너게 되었는데 이때 공민왕은 말을 타고 가고 노국 공주와 시녀들은 인근 부녀자들의 등을 딛고 건넜는데 이것이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놋다리밟기의 시초라고 한다. 공민왕은 적의 차후 공격을 피하기 위해 이 산에 성을 쌓았다고 하는데 왕이 청량산에 올 때 다섯필의 말이 끄는 수레를 타고 왔다고 하는데 이 길을 오마대도라 한다. 청량산 인근 마을인 북곡1리에서는 공민왕의 부인을 모시는 동제가 남아있다. 공민왕당은 공민왕을 신으로 모시는 사당으로 내부에는 공민왕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벽면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용 그림이 그려져 있다. 당의 형태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집으로 정면에는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청량산의 자연경관을 살펴보면 역사자원 못지않은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한 수계는 봉화군 석포면과 춘양면을 거쳐 명호천으로 모여든다. 명호천이 안동댐의 상류로 유입되어 거대한 낙동강 수계를 형성하게 된다. 청량산 일대의 집수 계류구역은 광역적으로 합류하지 않고 독립된 계류로 이루어져 있다. 청량산 일대를 흐르는 낙동강 소지류는 감입곡류하며 하천주변에는 포인트 바, 범람원, 하안단구, 하식애 등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청량산에는 암괴원, 암괴류, 하안단구, 하식애 등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청량산에는 암괴원, 암괴류, 애추 등과 같은 주빙하성 암설사면 지형이 발달하였고 이 일대의 단구는 최봉빙기 전기와 후기에 형성된 2개의 단구면이 관찰된다.

 

 그 밖에 V자 계곡이 발달된 청량산 일대에는 소규모의 수직, 수평절리에 의한 풍화혈과 이들 역암층의 기반암에는 타포니가 발달하였다. 청량산의 구성암석은 역암, 사암, 이암 등으로 이루어지나 역암 혹은 역질사암이 우세하다. 대체로 역암으로 이루어지는 절벽들이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교호되는 이질이나 차별침식이 공동을 형성하거나 지주의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청량산 도립공원지구 내 여러 곳에서 경관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지점들의 형성에 고각도 단열구조들이 발견되고 있다. 지형적으로 장관을 이루는 내, 외 청량사 후면의 단애들이나 김생굴, 총명수 등도 모두 고각도 단열들과 관련이 있다. 청량산의 이러한 특징들은 지질학적으로 여러 유형들이 교과서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어 가치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청량산의 식생은 특이한 구조를 보이는 것은 아니나 굴참나무 군락지를 비롯하여 정상에 이르기까지 소나무와 활엽수가 고르게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자소봉의 꼬리진달래는 가치가 높다. 청량산의 동물상은 크게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수달, 산양, 구렁이 등의 희귀동물과 양서류로 무당개구리, 파충류로는 장지뱀, 포유류로는 다람쥐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조류로는 붉은머리 오목눈이가 많으며 박새, 흰배지빠귀, 숲새 등이 서식한다. 청량산은 역사문화와 생태계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량산 자란봉과 선학봉 사이를 잇는 청량산 하늘다리를 빼놓을 수 없다. 이 다리는 해발 800m 지점에 위치한 국내에서 가장 긴 산악현수교량으로 길이가 90m에 달한다. 하늘다리에서 유리바닥을 통해 내려다보는 짜릿함도 경험해 볼만하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이원호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청량산 도립공원 홈페이지

문화재청(2005), 명승지정 학술조사 보고서

사진제공=김중만








 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T : 02-733-5270 F : 02-6499-9911

 ⓒ문화유산신문 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19 KCHN All rights reserved. Hosting &  Powered by Leemong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