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경>
서울의 중심부 광화문에 위치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 정부청사에서 2012년 리모델링한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역사박물관이다. 근현대사를 기억하는 박물관과 도심이 함께 어우러지도록 설계하였으며, 지상 8층 건물에 4개의 상설전시실과 2개의 기획전시실, 세미나실, 카페, 정원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역사 보물창고
박물관의 관람을 쉽게 시작하도록 어린이 전시관을 1층에 꾸며 놓았다. 어린이들이 만지고, 발견하고, 이해하는 순서로 생동감 있는 자료를 통하여 쉽게 눈높이에서 근현대사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기자의 취재 시간에는 어린이들보다 어른들이 더 많았으며 더 즐거워 하던 모습이 인상깊다. 운영시간은 주중6회, 주말7회로 홈페이지에서 예약 또는 현장접수가 가능하다. (1회당 10명 제한)

<우리역사 보물창고 입구>



<제1전시실 대한민국의 태동 (1876 ~ 1945년)>
자주적 근대 국가의 꿈과 노력! 국권 회복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조선이 세계에 문호를 개방했던 1870년부터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독립에 이르는 시기의 대한민국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대한제국의 옥새부터, 각종 태극기 유물들과 자유, 평화, 독립, 공존, 평등을 위해 애써온 우리 조상들의 노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데니 태극기, 김구 서명문 태극기, 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대한제국 '칙명지보' 고종황재의 옥새중 하나>

<광복당시 순국선열들의 모습을 표현한 디지털 아트>

<8선 당시의 이정표를 재현>
제2전시실 대한민국의 기초확립 (1945년 ~ 1961년)
6ㆍ25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근대 국가 토대를 구축한 불굴의 의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한국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어려움을 이겨내어 근대 국가의 기초를 확립하는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 당시 교육환경과 생활 모습들에 대한 전시물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곳으로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을 이용한 전시물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한국전쟁 전사자 유품들>

<당시 국민학교(초등학교) 교실의 모습>

<정부 수립 기념 축하식 자료들>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차 '시발자동차'>
제3전시실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1961년 ~ 1987년)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일궈낸 국민의 헌신과 노력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룩하기 위해 땀흘린 국민들의 모습이 그대로 표현, 전시된 곳으로 지금과는 다른 생활모습과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 기록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독재정권에서 벗어나려는 민주주의 열사들의 모습이 함께 공존하던 시대를 잘 반영한 전시관이다.

<울진 삼척 침투 무장공비 소지품>

<기아자동차 경3륜트럭 T-600>

<1호 초대형 유조선 '애틀랜틱 배런'>

<파월 참전 부대의 기념라이터 및 마크>
제4전시실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 1987년 ~ )
세계로 나가는 대한민국 더 큰 대한민국으로 도약하는 우리의 모습과 미래이야기
스포츠, 문화, 경제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과 반세기만에 선진국 대열에 올라선 대한민국의 세계로 발돋움하는 모습을 소개한다. 국제사회에서의 역할과 세계 다양한 나라들과 공생 발전을 위한 노력을 비추며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영상관을 이용하여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작된 역사 영상물을 시청하기를 추천한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표현하는 전시물>

<당시 상당한 고가의 286 PC>
현재를 기준으로 쓰인 역사, 과거의 기록이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지금 우리의 모습이 없다면 역사는 잊혀질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대한민국 근현대사 박물관인 이곳은 역사나 유물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이해하고 찾을 수 있는 우리의 문화공간이다. 우리가 만든 역사이며 우리가 만들 미래라는 진실을 찾아 떠나는 역사 여행의 출발점 일지도 모르겠다.
'
희망등불 만들기' 촬영과 출력이 가능하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투표 체험관'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 문의전화 : 02-3703-9200
* 홈페이지 : http://www.much.go.kr/
* 입장료 : 무료
* 이용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수요일, 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야간개장)
* 주차장 : 세종로 주차장 (요금: 5분당 300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경>
서울의 중심부 광화문에 위치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 정부청사에서 2012년 리모델링한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역사박물관이다. 근현대사를 기억하는 박물관과 도심이 함께 어우러지도록 설계하였으며, 지상 8층 건물에 4개의 상설전시실과 2개의 기획전시실, 세미나실, 카페, 정원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역사 보물창고
박물관의 관람을 쉽게 시작하도록 어린이 전시관을 1층에 꾸며 놓았다. 어린이들이 만지고, 발견하고, 이해하는 순서로 생동감 있는 자료를 통하여 쉽게 눈높이에서 근현대사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기자의 취재 시간에는 어린이들보다 어른들이 더 많았으며 더 즐거워 하던 모습이 인상깊다. 운영시간은 주중6회, 주말7회로 홈페이지에서 예약 또는 현장접수가 가능하다. (1회당 10명 제한)
<우리역사 보물창고 입구>
<제1전시실 대한민국의 태동 (1876 ~ 1945년)>
자주적 근대 국가의 꿈과 노력! 국권 회복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조선이 세계에 문호를 개방했던 1870년부터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독립에 이르는 시기의 대한민국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대한제국의 옥새부터, 각종 태극기 유물들과 자유, 평화, 독립, 공존, 평등을 위해 애써온 우리 조상들의 노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데니 태극기, 김구 서명문 태극기, 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대한제국 '칙명지보' 고종황재의 옥새중 하나>
<광복당시 순국선열들의 모습을 표현한 디지털 아트>
<8선 당시의 이정표를 재현>
제2전시실 대한민국의 기초확립 (1945년 ~ 1961년)
6ㆍ25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근대 국가 토대를 구축한 불굴의 의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한국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어려움을 이겨내어 근대 국가의 기초를 확립하는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 당시 교육환경과 생활 모습들에 대한 전시물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곳으로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을 이용한 전시물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한국전쟁 전사자 유품들>
<당시 국민학교(초등학교) 교실의 모습>
<정부 수립 기념 축하식 자료들>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차 '시발자동차'>
제3전시실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1961년 ~ 1987년)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일궈낸 국민의 헌신과 노력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룩하기 위해 땀흘린 국민들의 모습이 그대로 표현, 전시된 곳으로 지금과는 다른 생활모습과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 기록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독재정권에서 벗어나려는 민주주의 열사들의 모습이 함께 공존하던 시대를 잘 반영한 전시관이다.
<울진 삼척 침투 무장공비 소지품>
<기아자동차 경3륜트럭 T-600>
<1호 초대형 유조선 '애틀랜틱 배런'>
<파월 참전 부대의 기념라이터 및 마크>
제4전시실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 1987년 ~ )
세계로 나가는 대한민국 더 큰 대한민국으로 도약하는 우리의 모습과 미래이야기
스포츠, 문화, 경제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과 반세기만에 선진국 대열에 올라선 대한민국의 세계로 발돋움하는 모습을 소개한다. 국제사회에서의 역할과 세계 다양한 나라들과 공생 발전을 위한 노력을 비추며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영상관을 이용하여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작된 역사 영상물을 시청하기를 추천한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표현하는 전시물>
<당시 상당한 고가의 286 PC>
현재를 기준으로 쓰인 역사, 과거의 기록이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지금 우리의 모습이 없다면 역사는 잊혀질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대한민국 근현대사 박물관인 이곳은 역사나 유물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이해하고 찾을 수 있는 우리의 문화공간이다. 우리가 만든 역사이며 우리가 만들 미래라는 진실을 찾아 떠나는 역사 여행의 출발점 일지도 모르겠다.
희망등불 만들기' 촬영과 출력이 가능하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투표 체험관'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 문의전화 : 02-3703-9200
* 홈페이지 : http://www.much.go.kr/
* 입장료 : 무료
* 이용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수요일, 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야간개장)
* 주차장 : 세종로 주차장 (요금: 5분당 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