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문화유산]마카오 역사 지구 [Historic Centre of Macao]



 중국 남동쪽 해안에 자리 잡은 마카오 역사 지구(Historic Centre of Macao)는 주강(珠江) 삼각주의 서쪽에 이르는 마카오 반도와 타이파(Taipa), 콜로아네(Coloane) 두 섬으로, 16세기부터 약 450년 동안 지속된 서양 문물과 중국 전통문화 교류의 흔적이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중국과 서양의 최초의 만남, 그리고 가장 오래 지속된 교류가 있었던 지역인 마카오는 16세기 포르투갈인들이 오기 전에는 어부들이 오랫동안 살아온 곳이었다. ‘마카오’라는 이름은 14세기에 세워진 마콕(Ma Kwok) 사원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당시에는 원주민들이 여러 작은 마을에 흩어져 살고 있었다. 바라(Barra)와 파타네(Patane)는 바다를 무대로 삼는 상인들의 소규모 거주지였으며 나머지는 농경 마을이었다.
 

 포루투갈은 1557년 마카오에 침입한 해적토벌에 대한 대가로 중국으로부터 이곳을 넘겨받아 1680년에 총독 파견하였으며, 1849년 자유무역항으로 선포하고, 마카오 전체 영토를 점령했다. 1887년 중국-포르투갈 우호통상조약(Protocol of Lisbon)이 체결되어 마카오는 정식으로 포르투갈에 인도되었다. 하지만 1976년 포르투갈의 마카오 기본법(Macau Organic Law) 통과로 마카오는 입법, 행정, 재정 등에 관해 대폭적인 자치권을 획득하게 되어 1979년 포르투갈-중국 간에 외교 관계가 수립되고 마카오에 대한 중국의 영토권이 인정되기에 이른다. 1983년 중국-마카오 간에 마카오 개발협정이 체결되면서 주해 경제특구와 연계 개발되었고, 1986년 북경에서 마카오 장래협상이 개시되었다. 1987년 4차 협상 끝에 마카오 반환협정에 서명하게 되었으며, 드디어 1999년 16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의 통치를 받았던 마카오가 중국에 반환되기에 이르렀다.



16㏊에 이르는 마카오 역사 지구는 역사거리와 주거 지역, 그리고 포르투갈과 중국식 종교건물과 공공건물들이 있는 마카오 역사지구는 동양과 서양의 미적·문화적·건축적·기술적 영향력이 만나는 독특한 장소이자 증거이며,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요새와 등대가 있다. 2005년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이곳에 자리한 유서 깊은 건축물 22개와 광장 8개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마카오 역사지구 중심지역에는 마카오 최초의 도로인 루아 디레이타(Rua Direita), 전각, 기념당, 사당, 자비당, 관음당, 불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라(Barra) 광장의 마조각(媽祖閣, A-Ma Temple, 15세기)을 비롯해 마카오 최초의 포르투갈인 거주지 릴라우(Lilau) 광장이 있다. 이밖에도 스페인 아우구스틴 사제단이 있는 성 아우구스틴 광장, 주요한 공공광장이었던  세나도 광장, 대성당(1850년에 재건축)과 마카오 교구 본부가 있는 대성당 광장, 세인트폴 유적이 있는 예수회 기념 광장 등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인 기아 등대(1885)가 있는 기아(Guia) 언덕에는 기아 예배당(1622)이 있는 기아 요새가 있다.



자료제공= 유네스코와 유산,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1992-2016 



 





 News & Company

법인명 : 주식회사 리몽 | LEEMONG corp.

등록번호 : 강원 아00093 |  발행일자 : 2011. 9. 5

발행인 :  이원석 | 편집인 : 이진경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은미 기사배열 책임자 : 이원석

[25464]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 강릉선교장

63, Unjeong-gil, Gangneung-si, Gangwon-do,[25464] Republic of Korea

Email : kchnews@naver.com T : 02-733-5270 F : 02-6499-9911

 ⓒ문화유산신문 당사의 기사를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링크, 게재하거나 배포하실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19 KCHN All rights reserved. Hosting &  Powered by Leemong corp.